임진왜란 초 경상도에서의 사투

작성자 정보

  • 달빛늑대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흔히 묘사되는 임진왜란의 흐름은 일본군이 경상좌도 해안 지역에 상륙하고, 파죽지세로 상주와 조령, 탄금대를 거쳐 한양으로 달려가서 선조가 급히 몽진을 간 것을 언급한 뒤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난 것을 중점으로 묘사함


그러다보니 개전 초기 격전지가 되었던 경상좌도 전역에서의 치열한 사투들은 잘 알려지지 않은 편이지




btb66b33fab7dd6cb0cfe643a64f090458

임진왜란 초기 조선군이 쉽게 무너진 이유로 사람들은 흔히 제승방략의 허점으로 인해 제대로 집결하지 못한 채 무너졌다는 점을 꼽지만, 실상은 달랐으니 제승방략은 사실 완벽히 작동했음


1592년 4월 13일 고니시 유키나가의 제1군 18,700명이 부산진 앞에 상륙한 시점에 상륙 소식을 접한 일대의 조선군이 곧바로 신속대응에 착수했고, 4월 14일 부산진 전투가 끝날 무렵에는 이미 경상좌병사 이각의 지휘 아래 소산역에서 조선군이 집결하고 있었거든


경상좌병사 이각의 본영 병력에 양산군수 조영규, 울산군수 이언성 등이 우선 집결했고, 4월 15일 새벽에는 경상좌수사 박홍의 병력과 밀양부사 박진의 병력이 합류해 약 3,000명의 야전군이 확보되었으며, 그 외에도 경주판관 박의장이 수백 명을 이끌고 오는 등 경상좌도 13개 읍에서 증원군이 모여들고 있었음


동래성 수비대 500명에 피난민들 중 싸울 수 있던 인원과 소산역의 지원군, 그리고 집결 중인 추가 병력을 합하면 동래성 전투는 생각보다 할 만한 전투였지만, 전투 결과는 알다시피 조선군의 완패였음


bt54ad2c903684284774a638da00a28f3f

이 새끼가 튀어버리는 바람에 지휘부가 날아간 소산역의 조선군이 동래성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고 밀려나 버렸거든




동래성 전투에서 성 밖의 조선군은 단순히 밀려난 것 뿐이었기에 그래도 싸울 여지는 남아있었지만, 경상좌병사 이각의 트롤링은 계속되었음


동래성 전투 이후 소산역으로 모이던 조선군의 집결지는 곧바로 울산의 경상좌병영으로 수정되었고, 그렇게 아군이 집결하는 사이 밀양부사 박진이 시간을 벌어주기 위해 울산으로 가는 작원잔도를 틀어막고 버티기로 했음


하지만 이번에도 이각이 도망쳐버리면서 지휘부가 사라지고 집결지 상황도 불분명해진 조선군 동원부대들은 다음 명령을 기다리기 위해 각자 거점으로 돌아가버렸지


결국 지원을 받지 못한 박진은 수적 열세로 인해 작원잔도에서 패주했고, 일본군은 경상좌병영을 장악한 뒤 계속 북진함




btd17cdbce051f0309c4c7e13807cc5b3b

이후 3차 집결지로 지정된 영천과 순변사 이일이 도착한 상주가 차례로 날아가며 조선군은 추풍낙엽처럼 쓰러지고 일본군은 승승장구하며 경상도를 무난하게 점령하는 그림이 그려지는 듯했음


경상좌도의  조선 야전군은 소멸했고, 일본군 추가 병력들이 순차적으로 부산을 통해 상륙하며 경상도 전역을 휩쓸었으며, 그로 인해 발생한 난민들이 국가의 통제를 벗어나 도적으로 변하고 일부는 일본군 앞잡이 역할까지 하는 등, 일본군 입장에서는 사실상 잔당 토벌만 하면 경상도 전체를 날름할 수 있는 상황이었거든


하지만 소멸한 줄 알았던 경상좌도의 조선군은 각지의 고을 수령들 덕분에 무너지지 않은 채 전력을 온존하고 있었고, 이들이 곳곳에서 저항을 시도하며 상황이 급격하게 바뀌게 됨




bt88a3de5359770cf40d8d652c2ed66218

경주 일대에서는 경주판관 박의장의 주도로 흥해, 장기, 청하, 영일 등지의 수령들이 모여서 흩어진 병력을 수습한 뒤 게릴라전에 나섰음


이 병력은 아예 대장장이들을 모아 자체적으로 병장기를 수급하고 난민들을 훈련시키는 등 조직적으로 움직였고, 발빠르게 경주 인근의 조세미 창고들을 확보해 군량을 확보한 이후부터는 곳곳에서 일본군 분견대들을 습격해 박살내거나 일본군 진지를 불태우는 등 제대로 분탕을 쳐댐




bt774b9152f5f044876e4cacd583ddb672

안동 일대에서는 용궁현감 우복룡을 중심으로 영해, 청송, 의성, 영천 등 10개 지역의 조선군이 북쪽과 서쪽에서 포위당한 채 각자의 고향들을 지키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웠음


이들은 우복룡의 지휘 아래 공세에 나서 일본군과 꾸준히 공방전을 벌였고, 수시로 일본군 주력부대와 마주쳐 박살나기 일쑤였지만 이들은 한 명도 도망치지 않고 악착같이 각자의 소속 지역으로 돌아간 뒤 재편성하고 난민들로 병력을 충원해 다시 일본군에게 들이받았지


대구에서도 안동과 비슷한 양상이 펼쳐졌고, 이 곳에서는 현풍현감과 영산현감이 순절하는 등 일본군과의 교전이 더욱 치열하게 펼쳐짐




bt8356ee7785ac549e484211b478c458d5

이렇게 경상좌도 곳곳에서 조선군이 격전을 펼치며 분투하는 사이, 조선군에 의해 안정된 지역들로 달아났던 패잔병들이 다시 모여들고 지역 유력자들이 자금을 풀어 싸울 인원을 모으며 대대적으로 의병 활동이 시작되었음


이렇게 편성된 의병들은 먼저 싸우고 있던 관군과 긴밀하게 협조하며 수천 명 단위의 야전군을 다시 형성하기에 이르렀고, 개전 2개월차인 1592년 6월 무렵에는 경상도 전역 전체가 사방에서 난전이 벌어지는 격전지가 됨


이 무렵 경주 일대의 조선군이 게릴라전을 멈추고 북진을 시작해 다른 지역의 조선군과 연계하기 시작하며 일본군을 압박하기 시작했고, 경상우도 방면에서도 초유사 김성일이 재편성한 조선 야전군이 진주판관 김시민을 선봉으로 공세를 펼치기 시작했지




결국 전쟁 2개월차에 경상도 거점들을 상실하고 보급선이 단절될 위기에 처한 일본군은 전방부대들이 고립되기 전에 아직 단일 지휘부로 조직되지 못한 경상도의 조선군을 먼저 각개격파하기로 결심하고...

[ 읽기 : 0 / 쓰기 : 0 / 댓글 : 10 / 공유 : 50 ]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