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뻐꾸기가 왜 탁란하는지 근본적인 이유가 뭔지 암?
작성자 정보
- 하늘사랑꾼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07 조회
- 목록
본문
먹거리 때문임
책임 없는 쾌락같은 새소리가 아니라
의외로 제 자식을 남에게 맡기는건 진화론적으로 대단히 불리한 전략임
번식을 대형포유류에 의존한 아보카도는 인간이 심기 직전까지 전멸직전까지 몰렸음
아무 새에게나 탁란하면 되는거 아니냐는 이야기는
그래서 뻐꾸기가 아무 둥지에나 탁란하냐고 반박됨
당연하지만 새의 종류를 떠나서 뻐꾸기는 제알이 다른 알보다 살짝 이른시기에 태어나는 둥지에만 알을 낳을 수 있음
또 탁란 탓에 다른 새들이 못사는 곳엔 뻐꾸기도 못 삼
다른 새들이 다른 종류의 새들이 적은 장소와 시기 환경
소위 신천지로 진화의 갈래를 뻗어나가며 진화해나갈 때
탁란좌뻐꾸기는 기생충처럼 그 새들을 따라갈 수 밖에 없음
생물학적으로 정말 엄청난 기회비용을 치르고있죠
그래서 얼핏 책임 없는 쾌락인 탁란이 새들 사이에서 그다지 인기있지 않은 겁니다.
차라리 부모가 함께 기르면 기르고 반대로 길거리에 방치하면 방치했지...
그럼 그래서 본론으로
왜 탁란이 먹이 때문이냐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알보면 알겠지만 뻐꾸기는 좀 크죠? 근데 맹금류는 아니죠
좀 이상하죠? 작은 곤충 잡아먹는데 큰 몸집이 도움이 될까요? 반대로 맹금류에게 큰 치킨으로 보이진않을지?
대부분의 새는 작아서 곤충을 잘잡아먹거나
크거나 날렵해서 다른 새를 잘잡아먹거나
그 둘 중 하나인데 뻐꾸기는 그 둘 다 아닙니다
하지만 의외로 뻐꾸기의 미묘하게 큰 덩치는
뻐꾸기의 먹이 활동에 꽤 필수적입니다 왜냐고요?
소화력은 보통 크기에 비례하거든요 또 독 내성도요
정확히는 크기는 소화력과 독내성에 결정적인 함수입니다.
반례라고 볼 수 있는 코끼리조차 큰대 소화력이 부족한게 아니라 소화력이 부족해서 크기를 키웠다는게 보다 바람직한 해석이죠
또 흡수효율과 소화능력은 다른거에요 코끼리가 효율은 나쁘죠 앵무새가 효율은 더좋을수있죠
근데 셀룰로오스는 어떻게 소화하시려고? 풀이 부드러우니 소화가 잘될꺼라 생각하면 안됩니다
초식동물은 보통 덩치가 빅하고 그 대부분이 위고 장이에요..그게 소화력이죠
네 맞습니다 이제 다들 짐작할겁니다 우리의 뻐꾹이는 독충을 먹습니다 거의 주식이죠 맛집입니다
나방독충의 큰 털도 독도 그만치 큰 뻐꾸기의 큰 식도와 큰 위장 큰 소화력 그리고 큰 체력 앞에서는 의미가 없죠
뻐꾹 그들은 다른 새들이 거르는 독충을 잘만먹습니다.
말하자면 뻐꾸기는 다른 새들처럼 번식이 아니라 먹이활동 먹거리에서 군비경쟁을 한 종입니다.
이걸 나쁜전략이라 할 순 없죠 엄연한 생태적 틈새아닙니까 대가가 너무커서그렇지
문제는 바로 이부분입니다 번식이 아니라 먹이활동을 중시했다는 그 부분 말입니다.
새는 보통 새끼에게 뭘먹이죠? 비둘기는 젖을 먹인다고요? 피죤밀크? 그말은 그게 그만치 특이하단 소리겠죠?
새는 보통 음식을 그냥 대충 찢어서 부리투부리로 먹입니다.
즉 새끼 새들은 그냥 작게 따른 보드카를 어려서부터 먹고 자라는거에요 어른과 새끼의 먹이 구분이란게 없죠
근데 여기서 뻐꾹은 뭘먹는다? 독충을 먹는다 그리고 지금 이걸 누구에게 먹여야한다? 새끼새에게 먹여야한다
답이 안나오죠 뻐꾸기의 큰덩치 큰위장 조류의 소화력 그 모두 새끼 새에겐 포함되지않습니다
그렇다면 평범한 곤충을 잡으면 되는거 아니냐고 하지만 말은 쉽죠 국영수위주로 공부하면 되기야하겠죠
슬프게도 독충킬러인 뻐꾸기는 작고날렵한 곤충 잘 못잡아요 덩치가 크거든요 배째봐라고 나오는 독충이나 잘잡지
각나왔죠? 무슨 각? 탁란 각
이건 모르는 일이지만 최초의 탁란뻐꾸기는 식사를 독충으로 바꾼뒤 픽픽 죽어가는 새끼들을 마주했을겁니다.
그 결과 진화압으로 우연히 둥지를 잘못찾아간 탁란뻐꾸기가 자연선택된거죠
독충의 독은 점점 더 독해지고 탁란을 점점 막으려드는 부모새들 사이에서 뻐꾸기는 제 자리를 지킨거죠
어쩌면 우린 뻐꾸기에게서 금태양이 아니라 번식보다는 먹거리를 선택한 누구들의 미래를 봐야할지 모르겠습니다.
[ 읽기 : 0 / 쓰기 : 0 / 댓글 : 10 / 공유 : 50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