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ㅣ산업 분류
네이버·카카오 등 민간앱 '모바일 신분증'으로 은행계좌 만든다
작성자 정보
- 놀아줘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행안부, 금융보안원 등과 민간개방 적합성 평가 MOU

네이버가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에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사진=네이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 A씨는 은행 계좌개설, 대출 등의 업무를 볼 때 반드시 실물 신분증을 제출해야 하는 데 불편함을 느껴왔다. 특히 카카오뱅크, 토스 등 모바일 은행도 비대면 계좌개설 등을 진행할 때 반드시 실물 신분증을 촬영해야 해 번거로웠다. 그러나 앞으로는 A씨가 자주 사용하는 민간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 받아 실물 신분증 없이도 은행 계좌를 만들 수 있게 됐다.
행정안전부는 12일 금융보안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와 이 같은 내용의 '모바일 신분증 민간 개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그간 행안부는 국민 편의를 위해 2021년 공무원증을 시작으로 2022년 운전면허증, 2023년 국가보훈등록증, 올해 재외국민 신원확인증 등 실물 신분증 없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러한 모바일 신분증은 현재 정부24, 금융권 계좌개설, 공항, 편의점, 렌터카 등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신원 확인이나 신원정보 제출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행안부는 이에 더해 정부 앱 뿐만 아니라 민간 앱에서도 모바일 신분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난 6월 민간 개방 참여 기업을 선정한 바 있다.
네이버, 카카오 및 카카오뱅크 컨소시엄, 국민은행, 농협은행, 토스 등으로 이 경우 자체 앱에서 실물 신분증 없이 모바일 신분증으로 은행 계좌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이번 MOU를 계기로 모바일 신분증의 안전성을 면밀히 검증해 민간 개방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더욱 많은 곳에 쓰일 수 있는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 12월27일부터는 만 17세 이상 국민 누구나 주민등록증을 모바일로 발급 받을 수 있게 돼 '전 국민 모바일 주민등록증' 시대가 열리게 된다.
출처 : 뉴시스
[ 읽기 : 0 / 쓰기 : 0 / 댓글 : 10 / 공유 : 50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