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ㅣ국제 분류
한미, AI·핵무기 결합 등 新안보 위협 공조 방안 모색
작성자 정보
- 놀아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외교부 전략정보본부장-美국무부차관 서울 면담
[서울=뉴시스] 조구래 외교부 외교전략정보본부장과 보니 젠킨스 미국 국무부 군비통제·국제안보 담당 차관은 지난 10일 서울에서 면담을 갖고 '2024 AI의 책임있는 군사적 이용에 관한 제2차 고위급회의' 결과 평가 및 후속 조치와 신흥안보 분야 공조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사진= 외교부 제공) 2024.09.1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변해정 기자 = 한국과 미국 외교 고위당국자가 최근 서울에서 만나 인공지능(AI)과 우주, 사이버 등 신흥안보 위협에 대한 공조 방안을 모색했다.
11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구래 외교전략정보본부장은 지난 10일 방한 중인 보니 젠킨스 미국 국무부 군비통제·국제안보 차관을 면담했다.
양측은 핵무기 증강 등 전략적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신흥 기술이 핵무기와 결합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공유하고, 새 안보 위협 분야로서 군사 분야 AI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특히 '2024 AI의 책임있는 군사적 이용에 관한 제2차 고위급회의'(REAIM 고위급 회의)에서 61개국의 동참 하에 채택한 선언적 결과문서인 '행동을 위한 청사진(Blueprint for Action·블루프린트 포 액션)'을 토대로 논의를 이어가자고 했다.
오는 10월 한국과 네덜란드가 유엔총회 제1위원회에 공동 상정할 군사 분야 최초의 AI 결의안에 대해 긴밀히 협의하고,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도국을 통칭)의 AI 역량 강화를 위해서도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양측은 또 한반도 주변국의 핵 무력 증강과 핵무기 교리 변경 추진 등 전반적인 군축·비확산 동향과 한반도에 미칠 영향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양측은 동맹에 기반한 실질적인 안보 분야에서의 진전을 가속화 함으로써 동맹국 국민들이 불안함을 느끼지 않도록 적절한 메시지가 발신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관련 분야에서 양국 간 협의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양측은 러시아와 북한 간 불법적인 군사 협력이 한반도 및 동북아 안보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면서 이에 대해서도 단호히 대응하기로 했다.
출처 : 뉴시스
[ 읽기 : 0 / 쓰기 : 0 / 댓글 : 10 / 공유 : 50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