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ㅣ국제 분류
추석 연휴 때 하루 60명 벌 쏘여 구급차 탄다…"성묫길 주의"
작성자 정보
- 놀아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5년간 추석 연휴 벌쏘임 사고 1445명
짙은 향 화장품 피하고 밝은 곳 입어야
교통사고도 유의…작년 1만2천명 사고

[세종=뉴시스] 119소방대원이 벌집을 제거하고 있다. (사진= 뉴시스 DB)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벌에 쏘여 병원으로 실려가는 환자가 하루 평균 60명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묘·벌초 작업 때 벌에 쏘이지 않으려면 짙은 향이 나는 화장품을 피하고 밝은 색 계열의 옷을 입는 것이 좋다.
9일 소방청 구급활동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 간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벌쏘임 사고로 인한 구급 이송 인원은 1445명에 달했다. 연휴 기간 하루 평균 60명이 벌에 쏘인 셈이다. 이 가운데 심정지 환자는 3명, 부상자는 1442명이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9년 297명, 2020년 144명, 2021년 348명, 2022년 301명, 2023년 373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의 경우 추석 연휴가 6일 간 지속돼 벌쏘임 사고도 특히 많이 발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추석 연휴 기간 뱀에 물려 구급대에 이송된 건수는 5년 간 140건으로 나타났다. 2019년 18건, 2020년 25건, 2021년 31건, 2022년 36건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다, 지난해에는 30건으로 소폭 줄었다.
연휴 기간에는 이동이 많아지면서 교통사고 발생도 높은 편이다. 최근 5년 간 추석 연휴에 교통사고로 병원에 이송된 인원은 총 1만1917명으로, 연휴 기간 하루 평균 497명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교통사고로 인한 부상자는 2758명, 심정지환자는 24명으로 연휴가 길었던 만큼 5년 중 가장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예초기 안전 사고도 9월 중 가장 많이 발생한다. 한국소비자원 자료에 따르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예초기 관련 안전사고는 최근 5년 간 총 405건으로, 이 가운데 60%는 추석 전 벌초시기인 8·9월에 집중됐다.
예초기 사고로 다친 부위는 발·다리가 66%로 가장 많았고, 손·팔 25%, 머리·얼굴 5%, 어깨·목 2% 순으로 나타났다. 연렫애별로는 50대와 60대가 57%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벌초·성묘 작업을 할 때에는 반드시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충분한 안전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벌초나 성묫길에는 벌 쏘임을 막기 위해 향이 짙은 화장품이나 향수 사용을 삼가고 밝은 색 계열의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만약 벌에 쏘여 어지러움, 구토,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119에 신고하고 전문 의료기관의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뱀물림, 진드기 등 각종 벌레 물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긴 소매와 발목을 덮는 옷, 장화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출처 : 뉴시스
[ 읽기 : 0 / 쓰기 : 0 / 댓글 : 10 / 공유 : 50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